티스토리 뷰

카테고리 없음

단양 고수동굴

김실장a 2025. 6. 15. 17:20

목차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단양 고수 동굴 

    안녕하세요!

    김실장입니다 헤헤_

    저희유한이랑 신랑이 이번 주말에 여길 다녀왔더라구요!

    밖은 더웠는데 여긴 너무 추웠다며 말하는 아들래미 말에

    글 한번 포스팅 해봅니다 ㅎㅎ

     

     

    단양고수동굴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충북 단양군 단양읍 고수동굴은 고생대 4~5억년 전 형성된 석회암 동굴로,

    총 길이 약 1,395m에 이르는 거대한 지하 자연공간입니다.

    현재는 약 940m 구간이 개방되어 있으며, 종유석·석순·석주가 조성하는 경이로운 풍경과

    연중 약 13~15℃를 유지하는 서늘한 내부 기온 덕분에 여름에도 시원한 체험 장소로 사랑받고 있습니다 

     

    1. 위치 및 기본 운영 정보

    • 📌 주소: 충북 단양군 단양읍 고수동굴길
    • ⏰ 운영시간:
      • 하절기(4~10월): 09:00~17:00 (입장은 16:00까지)
      • 동절기(11~3월): 09:00~17:00 (입장 마감 동일)
    • 🎟 입장료:
      • 성인: 11,000원
      • 청소년: 7,000원
      • 어린이: 5,000원
      • 홈페이지 예매 시 10% 할인 제공 
    • 🅿️ 주차 안내:
      • 제1·제2 주차장 운영, 소형 3,000원, 경차·장애인 1,500원, 대형(버스) 6,000원 

    2. 동굴의 지질 , 역사적 가치

    단양 고수동굴은 1976년 국가천연기념물 제256호로 지정되었으며,

    해발 약 430m 등우봉 남사면 금곡천 계곡을 따라 형성된 석회암층 동굴입니다 

    내부에는 석회화 단구인 ‘선녀탕’, 7m 이상 종유석, 종유폭포 유석 등

    다양한 암석 구조물이 존재하며, 고대 산업 유물인 타제석기·마제석기도 처음 발견되어

    선사시대 사람이 동굴을 이용했음을 보여줍니다 

     

    3. 탐방 경로 & 대표 볼거리

    1. 입구 → 안내관 → 포토존 촬영
    2. 600m 주굴 (주요 종유석·석순 관찰)
    3. 700개 철제 계단 오르기 (원형 계단 포함)
    4. ‘천년의 사랑’ 종유석·석순 조우 구간
    5. 종유폭포, 선녀탕, 동굴산호, 동굴교, 아라고나이트 등 희귀 퇴적물 감상 :
    6. 동굴 탈출 후 매표소 건물 앞 포토존 및 박물관 관람

    4. 관람 팁 & 주의사항

    • 계단과 통로가 많고 돌길이 미끄러울 수 있어 장갑 및 미끄럼 방지 신고 추천 
    • 입장 시 성인 기준 약 40~60분 소요, 평형 이동 가능 구조
    • 아이·노약자 안내: 좁은 통로 및 계단 중간에 쉬면서 이동 필요
    • 플래시·음식 반입 금지, 반려동물 출입 제한 
    • 퇴장시간(오후 17:00~17:30) 이후 관리 부재로 고립 위험 있음 — 최근 부부 고립 사고 발생 

    5. 연계관광 & 축제 추천 코스

    단양 고수동굴 방문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코스를 함께 구성하면 일일·1박2일 여행으로 좋습니다:

    1. 단양 구경시장 & 석갈비 맛집
    2. 단양 다누리 아쿠아리움 – 실내 가족 코스
    3. 사인암 & 청련암 산책로 – 자연과 사찰 탐방
    4. 단양 펜션·숙소 추천 – 1박 여행 마무리

    또한, 여름철에는 단양팔경 여행과 묶어 여정의 품격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6. 외부 공식 정보

    - 고수동굴 국가유산청 정보: 국가유산청 – 단양 고수동굴 :contentReference[oaicite:17]{index=17}
    - VisitKorea 안내 페이지: 국내여행지: 단양 고수동굴 :contentReference[oaicite:18]{index=18}

     

    천연기념물 단양 고수동굴 (丹陽 古藪洞窟) : 국가유산포털 - 국가유산청

    국가유산 검색

    www.heritage.go.kr

     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