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지역사랑상품권 발급 및 사용처 안내

by 김실장a 2025. 5. 14.
반응형

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와 지자체는 '지역사랑상품권'을 발행하고 있습니다. 이 상품권은 특정 지역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며, 소비자에게는 할인 혜택, 소상공인에게는 매출 증대 효과를 가져다주는 상생형 지역화폐입니다. 이 글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의 종류, 발급 방법, 할인 혜택, 사용처 등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.

 

지역사랑 상품권 발급및 사용처안내

지역사랑상품권이란? (정의, 목적, 도입 배경)

지역사랑상품권은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고, 관할 지역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 전용 화폐입니다. 지류형(종이), 카드형, 모바일형으로 나뉘며, 해당 지역 내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지역 소비 촉진
  • 소상공인 매출 확대
  • 지역 자금의 외부 유출 방지
  • 전통시장·골목상권 활성화

2024년 현재 전국 230여 개 지자체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.

발급 방법과 할인 혜택 (지류형, 카드형, 모바일형)

1. 지류형(종이 상품권)

  • 구매처: 농협, 새마을금고 등 지정 금융기관
  • 할인율: 5~10%
  • 방식: 신분증 지참, 창구 방문 구매

2. 카드형

  • 발급처: 지자체 전용 앱 또는 연계 카드사
  • 충전 방식: 계좌이체 또는 카드 결제
  • 예시: 경기지역화폐, 부산e바구카드

3. 모바일형

  • 이용 앱: 제로페이, 비플제로페이, 착(chak)
  • 결제 방식: QR코드 또는 바코드
  • 장점: 실시간 확인, 간편 사용

※ 개인당 월 구매 한도 및 예산 조기 소진 가능성 존재

사용처 및 이용 시 주의사항 (가맹점, 사용 불가처, 환불)

사용 가능 업종

  • 전통시장, 동네 마트, 소규모 음식점
  • 미용실, 안경점, 세탁소, 서점
  • 병원, 약국(지자체에 따라 다름)

사용 불가 업종

  • 백화점, 대형마트
  • 유흥업소, 고급주점
  • 프랜차이즈 직영점
  • 사행성 업종

주의사항

  • 유효기간: 지류형 5년, 모바일형 앱 내 확인
  • 분실 시 재발급 불가 (카드형은 정지 가능)
  • 일부 가맹점 거스름돈 미제공
  • 환불은 제한적

가맹점 확인

  • 지자체 홈페이지
  • 전용 앱 가맹점 찾기 기능
  • 제로페이 고객센터

결론: 현명한 소비,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시작하세요

지역사랑상품권은 단순한 할인 수단을 넘어, 지역경제를 지키는 소중한 실천 도구입니다. 소비자는 할인 혜택을 받고, 소상공인은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어 상생 소비문화의 대표 모델로 자리 잡았습니다.

지금 지역사랑상품권 앱을 설치하고, 가장 가까운 상점에서 지역을 응원하는 소비를 시작해보세요!

반응형